당뇨발은 당뇨병 환자의 15~25%가
경험하는 심각한 합병증입니다.
적절한 치료 없이 방치하면 하지 절단까지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질환입니다.
하지만 최근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당뇨발 혈관개통술'이라는 효과적인 치료법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적절한 치료 없이 방치하면 하지 절단까지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질환입니다.
하지만 최근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당뇨발 혈관개통술'이라는 효과적인 치료법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발이 비정상적으로
차거나 뜨거운 느낌
발이 무감각하거나
감각이 둔해짐
발이 저리거나 경련이 나타남,
모래 밟는 느낌
굳은 살이 심하게
발생하며, 피부 갈라짐
발에 상처, 궤양, 물집이
쉽게 생기고 잘 낫지 않음
발의 피부색 변화
(붉음, 검음 등)
당뇨발은 '신경 손상'과 '혈관 손상'이라는 두 가지 문제가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고혈당이 발의 감각 신경을 손상시켜 상처가 나도 아픔을 느끼지 못합니다. 이물질이 박히거나 화상을 입어도 모른 채 방치되어 문제가 커집니다.
동맥경화로 발로 가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힙니다.상처가 나도 회복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분이 공급되지 않아 낫지 않고 썩어 들어갑니다.
혈관개통술은 좁아지거나 막힌 발의 혈관을 넓히거나 다시 뚫어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시술입니다. 발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면 손상된 조직의 회복이 촉진되고, 세균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지며, 이미 발생한 궤양의 치유를 돕고 괴사 진행을 막아 궁극적으로 족부 절단 가능성을 낮출 수 있습니다.
첨단 의료장비로 혈관이 막힌
위치와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합니다.
2mm의 미세한 구멍으로 풍선,
스텐트를 이용해 막힌 혈관을 넓힙니다.
국소마취로 부담이 적고,
짧은 입원 후 빠르게 일상으로 돌아갑니다.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힌 부위에 특수 풍선 카테터를 삽입합니다.
이후 풍선을 확장시켜 협착된 혈관을 넓혀주면, 혈류가 정상적으로 회복되어 원활한 혈액순환이 가능해집니다.
혈관이 막힌 상태
혈관개통술 시행
시술 후 막힌 혈관이 뚫림
폐쇄부의 삽입
폐쇄부를 파괴
혈액순환의 재개
혈관이 막히고 좁아져, 발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분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고 있는 상태
막혔던 혈관이 성공적으로 개통되어 발끝까지 혈류가 복원되었습니다.
혈관의 상태에 따라 시술 가능 여부가 결정됩니다.
특히 광범위한 혈관 폐색이나 석회화가 심한 경우, 또는 혈관이 너무 작거나
굴곡이 심한 경우에는 시술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다리동맥이 완전히 막힌 경우도 시술 성공률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혈관 개통술은 혈류를 개선하는 치료법이지만, 이미 광범위한 괴사가 진행되었거나
심각한 감염이 있는 경우에는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2019년 6월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발표된 연구자료에 의하면 ①미국에서는 1996년도부터 2011년까지 말초 혈관 중재술 사용이 165% 증가한 반면, 하지 절단율은 45% 감소했습니다.
또한 ②노르웨이에서도 2001년부터 2014년까지 주요 절단율[인구 10만명당 (60세이상)]이 87.8%에서 48.7%로 감소했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통계는 혈관 개통술이 당뇨발 환자의 절단 위험을 크게 줄이는데 기여
했음을 보여줍니다.